포핸드에서 보면,


테이크백을 할  때 상체를 네트에 90도가 되게 회전을 하는 것은 상식입니다.

크로스로 오는 공에는 이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나 싶습니다.

단식에서 듀스의 코너에서 상대방 코트의 듀스코너로 공이 간다면, 이 때의 각은 사이드라인과 19도의 각을 이룹니다.

중앙에 있다가 사이드로 풋워크를 해서 네트에 90도 상체회전(유니턴)을 하게 되면, 실제적으로 공이 날라오는 직선과 상체는 90 + 19 도를 이룹니다.

그렇다면,


일반적인 각을 이루는 크로스의 공도 90 + 15도 정도는 된다는 얘기인데, 너무 각이 져 있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공이 오는 방향(직선)에
상체가 90도 가 되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좀 양보하면,


90도에서 5도 정도 추가하는 정도로, 즉, 네트기준으로 상체를 80도 정도로 하는 것은 어떨까 싶습니다

왜 이런 쓸데없을 수도 있는 생각이 드느냐 하면, 크로스로 오는 공을 다시 크로스로 보낼려면(그것이 각이 크다면) 어차피 타점은 상당히 앞에서 형성을 해야 합니다.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군요.


왼손잡이랑 난타를 하면, 공의 방향은 네트에 수직으로 지나게 됩니다. 이 때 일부러 상체를 더 돌려서 15도를 추가할 필요가 있을까 싶습니다.

이 때 문제가 되는 건 그럼 다운드라인은 어떻하고? 입니다.

 

복식에서 듀스코트에서 다운드라인시 컨트롤과 파워에서 문제없는 걸 보면, 단식에서도 별 문제가 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간단하게 요약하면


공의 오는 방향에 상체회전은 90도가 어떨까? 입니다.

요즘 의문꺼리입니다.

1
크로스로 오는 공에 대해서는 시야확보도 좀 더 쉬운 것 같습니다.

2
크로스 공을 다시 크로스로 리턴하기에는 포워드스윙 길이?가 약간 길어, 타점에 맞는 하체액션?의 타이밍 잡기가 약간 어려움.. 특히 각이 져서 넘어오는 크로스샷에 대해서는

3
어떤 이는 이런 방법을 권하기도 합니다.

중앙보다 한발 뒤에 스플릿스텝을 하면, 사이드로 움직이더라도 좌우로 풋워크가 아닌, 베이스라인 선의 끝 부분쪽으로 움직이면,

 

그런 풋워크 자체가 공에 수직에 가깝게 접근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합니다.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