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ng

 

양구에서 열린 제 49회 소강배중고등학교대회 도중 고등부 단식에 출전한 선수가 실격패했다.

 

단식 8강전뒤 고3 선수가 백신 주사 접종차 대회장에서 이동해 귀가했다. 이후 선수가 대회 본부에 어떠한 의사표시도 안해 대회 본부에선 실격패(disaqulification)를 선언해 상대 선수가 4강에 자동 진출했다. 

 

경기장에 정당한 사유나 연락없이 제시간에 등장하지 않아 심판에 의해 실격되어 패배한 것이다. 선수가 제시간에 나타나지 않아 패배를 하는 경우(Def-ns, 노쇼)가 있는데  소강배에선 실격패(disaqulification)를 적용했다. 

 

테니스경기에서 선수에 의해 다양한 상황이 벌어지는데 보통 기권, 워크오버, 실격이 있다. 

 

테니스에서 실격(disqualification)이란?

 

비스포츠적 행위로 인해 테니스 실격이 발생할 수 있다.


ATP 규칙에선 선수가 토너먼트 장소 내에서 임원, 상대, 관중 또는 기타 사람을 언제라도 신체적으로 학대해서는 안된다고 규정되어 있다. 선수가 심판에 의해 실격되어 패배한 대표적인 실격은 조코비치의 2020년 US오픈 4회전.

 

테니스에서 기권(ret)이란?

테니스에서 기권( ret )이란 경기가 진행 있었지만 선의 경기중 부상이나 질병으로 경기를 포기한 경우를 말한다.
Ret, Ret(ad)가 있는데 Ret(ad)는 부모나 코치가 해당 주니어선수에게 경기를 중단시키는 경우를 말한다.

테니스에서 워크오버(walkover)란?

워크오버는 어떤 이유에서든 상대가 경쟁할 수 없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경기에서 승리를 얻었을 때다.
선수가 워밍업 중 부상을 입거나, 경기 사이에 질병을 앓거나, 이전 경기를 완료할 수 있었지만 다음 경기에 출전하기 위해 신체적으로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이전 부상이 악화된 경우에 발생한다.
상대가 지정된 시간에 경기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도 발생한다(최상위 레벨에서는 매우 드물지만 하위 서킷에서는 가끔 발생함). 코트에 나올 수 있는 선수는 경기를 치르지 않고도 승리를 거둔다.

Wo (pc) = walkover – player canceled
Wo (inj) = walkover – injured (a walkover is an unopposed victory.)


테니스 토너먼트 경기 용어

 

Def(ns) = 패배 - 노쇼(플레이어가 제시간에 나타나지 않음)


Def(refs) = 패배 - 플레이 거부(선수가 공식 요청 후 플레이를 거부함)


Def(refsl) = 패배 - 플레이 거부 플레이(심판의 요청 후 플레이어가 플레이를 거부함)


Def(pe) = 패배 - 플레이어 오류(예: 잘못된 디비전에 등록한 플레이어)


Def(cont) = 패배


Def(ad) = 패배 - 성인 결정 (예: 부모, 코치 또는 주니어가 징계 사유로 인해 경기를 시작하지 못하도록 책임이 있는 기타 제3자의 성인 결정으로 인한 불이행)


Def(dq) = 선수가 심판에 의해 실격되어 패배. 조코비치의 2020년 US오픈 4회전


Ret(ill) = 질병 기권


Ret(inj) = 부상 기권상


Wo(inj) = 워크오버 – 부상


Wo(pc) = 워크오버 – 플레이어가 취소됨

 

FMLC = 첫 경기 패자


FIC = 피드인 콘솔레이션


SE = 싱글 엘리미네이션


RR = 라운드 로빈


M = 남자


W = 여자


FS = 아버지/아들


MD = 어머니/딸


MS = 어머니/아들


FD = 아버지 /딸


S = 단식


D = 복식


Mxd = 혼합 복식








TAG •

Articles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