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테니스에서 무릎을 적당하게 구부리라고 하는 이유..2가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테니스에서 왜 무릎을(허리가 아님) 적당하게 구부리라고 하는 것일까요?

 

어려운 질문 같지만 ,,정답은 .."공을 좀더 잘보기 위해서" 입니다...거기에 대해 무릎을 구부리면 파워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하단 동영상)

 

1.jpg

첫번째는..


무릎을 전혀 구부리지 않고,, 공이 날라오는 모습을 관찰합니다.

두번째는..


무릎을 구부려서,, 눈의 높이가 30cm정도 낮아진 상태에서 공을 관찰해 봅니다.

세번째는..


처음에는 서 있다가,, 바운드되기전에,, 공의 높이가 낮아지기전부터,, 무릎을 같이 구부려줍니다..

첫번째는..


눈을 아래로 하면서,, 공이 곡선으로 변하고,, 바운드후에 변하는(바운드후에는 심하게 변하는 느낌)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두번째는..


눈보다는 약간 아래이지만,, 첫번째 상황보다는 눈의 높이와 차이가 적으므로,, 그래도 관찰하기 쉽습니다.

세번째는..


공의 눈이가 낮아지면서,, 무릎도 구부리기 시작한다고 했습니다. 공이 낮아지기 시작하는 순간까지는 직선에 가깝습니다.. 공이 낮아집니다. 그때 무릎을 구부리면,, 공의 높이변화는 없습니다.


그런,, 공이 높이가 변하는데도,, 눈의 높이가 같이 낮추기때문에,, 눈은 같은 높이로 인식합니다. 위의 그림에서보면,, a에서 b 구간까지입니다.

물론,, b이하까지 무릎을 더 구부릴 수는 없습니다..

보통 생각하면,,


1번은 당연히 안 좋은 것을 아실 겁니다.


2번은 정답과 비슷합니다만,, 공의 리듬과는 관계없이 무릎을 구부리는 것이 됩니다.
 

3번은 공의 높이변화에 따라,, 무릎의 구부리므로,,(즉,, 눈의 높이를 낮추므로),, 곡선을 직선으로 인식하는 구간이 많아져서,, 그만큼 눈이 공을 인식하기가 더 쉽습니다.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