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식; 1+1=2+α가 되어야 승리한다.

복식에서는 1+1=2+α 가 되어야만 이기는 팀이 된다.
한 사람은 복식을 하는데 다른 한 사람이 단식 플레이를
하고 있으면 결코 2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복식에서는 전위의 동작과 포지셔닝, 어떤 시기에
사선형에서 평행진으로 바꿀 것인가가 중요하다.

▣ 네트 플레이어

1. 상황에 맞추어 움직인다.

전위인데 좀처럼 이동할 수 없다든지 상대가 친 볼을 손만
뻗으면 발리 할 수 있는데 그것을 하지 못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것은 준비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전위는 찬스볼일 때에만 치는 것이 아니라 발뒤꿈치를
들고 무릎을 가볍게 구부린 상태에서 언제라도 이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 상대와의 거리도 가깝기 때문에 어느 쪽 사이드로 볼이
와도 대응할 수 있도록 컨티넨탈 그립으로 쥔다.

2. 랠리의 페이스에 맞추어 이동하는가?

가령 듀스 코트의 후위끼리 랠리를 하고 있을 때 포치를
하려고 해도 행동이 느려 발리를 하지 못한 경우는 없는가.
또는 이미 자기 옆을 지나간 볼에 대해 뒤늦게 포치를
시도하지는 않는지.
이렇게 되는 이유는 후위끼리의 랠리 전에 적극 참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뒷사람끼리 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은 관계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언제라도 볼을 잡으러 간다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랠리의
페이스에 자신을 맞추어둔다.

3. 상대 전위를 보고 같은 거리를 유지한다.

전위의 포지셔닝에서 첫 번째로 중요한 것이 상대의 전위를
막는 것이다.
그렇게 하려면 상대 전위와 항상 같은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대가 뒤로 물러나면 앞으로 나오는 것이 좋고 사이드로
가면 센터로 이동한다.
항상 상대 전위의 이동에 주의를 기울여 같은 거리를 유지한다.

가령 상대 전위가 포치의 모션을 취하면 뒤로 물러나는 것이
네트 앞에 있는 것보다 리턴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4. 파트너의 공을 보고 움직인다.

상대 전위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를 옮긴다는 것은 앞에서
설명했다.
또 하나 파트너의 공의 방향에 따라서도 포지셔닝은
바뀌게 된다.
예를 들어 파트너인 후위가 사이드로 친 경우에는 스트레이트
수비를 위해 사이드로 이동한다.

또 파트너가 베이스라인 깊숙이 위력 있는 볼을 친 경우에는
상대로부터 뜬 볼이 올 가능성이 높다.
이 때에는 뜬 볼이 오는 것을 예상하여 네트 앞으로
나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포지셔닝을 바꿈으로써 지금까지 치지 못하던 볼도
잡을 수 있게 되어 포인트의 확률도 높아진다.

5. 상대 볼에 빠르게 반응하려면?

상대 볼에 대한 반응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볼에 대해서
정면으로 선다.
그러나 상대 전위의 이동을 체크하려면 아무래도 몸이 상대
전위를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반응이 늦어지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랠리의 페이스에도 맞지 않게 된다.

자기 몸이 볼이 오는 정면으로 향하게 하기 위해서는 시야 안에
상대 전위를 들어오게 하고 랠리를 따라잡도록 의식해야 한다.
즉, 상대 전위와 볼을 동시에 쫓고 있어야 한다.

6. 포치에서 100%의 성공을 노리는 것은 욕심

전위의 임무 중 하나가 포치이다.
흔히 "포치를 하면 100% 포인트를 얻어야만 한다."는 말을
많이 하는데 실제로 100%는 어렵다.
상대가 항상 치기 쉬운 곳으로 볼을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두 번 중 한 번은 성공한다.'는 마음으로 포치를 시도한다.
가볍게 임하는 것이 성공의 지름길.

7. 앞으로 한 발 내딛고 나서 비스듬히 움직인다.

여러분은 어떻게 포치를 하고 있는가?
포치를 할 때 옆으로 이동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비스듬히(사선 방향) 앞으로 움직이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포치로 나올 때에는 한 발 앞으로 나가고 나서 비스듬히
앞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한 발 앞으로 다가감으로써 상대의 리턴 범위를 좁힐 수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움직임도 훨씬 빨라진다.

8. 가능하면 자기 위로 올라온 볼은 자신이 처리

전위로 있을 때에 어려운 것이 로브. 상대가 어쩔 수 없이
쳐오는 경우와 공격적으로 쳐오는 경우가 있는데 로브가
올라온 경우 바로 파트너에게 맡기지 말고 자신이 직접
처리하도록 한다.
물론 깊은 로브에 대해서는 포지션을 바꾸어 대처해야 한다.

동호인대회에서 최소 32강 이상 진출을 목표로 한다면 자기
머리 위로 올라온 로브는 직접 처리하도록 한다.
포지션 체인지를 잘못 하면 변칙 포메이션이 되어버려
상대에게 역습을 허용하기 쉽다.

9. 로브가 넘어가면 상대 전위에게서 눈을 떼지 않는다.

그러나 아무래도 잡을 수 없는 로브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후위인 파트너에게 맡겨야 한다.
이때 포지션 체인지를 할 때, 자신 없는 선수는 파트너가
그 볼을 처리하는지가 걱정이 되어 뒤를 돌아보면서 움직인다.

그러나 잘하는 선수는 파트너를 믿고 상대 선수를 보면서
상대가 어떠한 자세를 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파트너에게
그 사실을 알려준다.
예를 들어 상대가 앞으로 나오면 "앞으로 나왔다."고 말해준다.

▣ 베이스라인 플레이어

1. 서비스라인 안에 떨어지면 어프로치

계속해서 사선형만 고집한다면 좋은 성적을 올릴 수가 없다.
평행진으로 포메이션을 바꾸려고 해도 어느 타이밍에서
앞으로 나가면 좋을지를 알 수 없는 사람이 많다.
따라서 하나의 기준을 정해둔다면 상대의 스트로크가 서비스
라인의 안쪽에 떨어지면 어프로치샷을 치고 앞으로 나간다.

이렇게 생각하면 첫 서브는 스피드도 있기 때문에 좀처럼
앞으로 나올 수 없지만 세컨드 서브는 앞으로 나올 찬스다.

2. 자신이 친 볼과 같은 볼이 왔을 때는 어프로치

자신이 친 볼과 같은 구종으로 상대가 친 경우에는 네트로
다가갈 찬스다.
같은 구종이라면 타이밍을 잡기 쉬워 어프로치샷의 준비를
하기 쉽다.
톱스핀으로 친 볼을 상대가 슬라이스로 쳐오면 볼의 페이스도
다르고 바운드도 다르기 때문에 어프로치샷을 하기 어렵다.
같은 구종의 랠리를 하고 있는 동안 볼이 짧아지면 찬스다.

3. 파트너와의 거리를 유지할 수 없을 때에는 나오지 않는다.

쇼트 크로스로 샷을 쳤다고 가정하자. 이때 파트너인 전위는
스트레이트를 지키기 위해 사이드로 포지션을 이동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어프로치샷을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파트너가 사이드로 이동함으로써 자신과의 거리가
멀어졌기 때문이다.
파트너와의 사이에 공간이 생겨버리면 앞으로 나가도
커버해야 하는 범위가 많아진다.
즉 빈 공간(오픈 스페이스)이 생기기 때문에 상대에게 기회를
주게 된다.

4. 드롭샷 때에도 앞으로 나가는 것은 금물

흔히 상대가 드롭샷을 쳐오면 네트로 나가는 광경을 본다.
이것은 상대에게 의도적으로 끌려 나가는 것으로 네트로
나간다고 해서 우위를 점할 수 없다.
또 이와 같은 볼(상대의 드롭샷)을 쳤다고 해도 볼은 떠버려
상대에게 기회를 주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파트너인 전위가 드롭샷을 처리하는
것이 좋다.
네트 부근의 볼은 모두 전위가 처리하도록 한다.

자료출처 : 테코





[테니스는 어떻게 완성 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