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문서 (139)

  • 테니스 용어 [아]
    유효타(Good) - good는 보통 '좋다'라는 말이지만 여기서는 good ball의 약어로 '유효한 타구'의 의미이다. ITF 경기규칙서 24조의 테마는 한글로 번역하면 '유효반구'이지만 이에 상응하는 영어 원문은 'A good retu...
    tenniseye | 2009-02-17 22:06 | 조회 수 10412
  • 한국 테니스의 영웅들 - 메이저 대회 출전사 [2]
    III. 90년대- 새바람을 일으킨 박성희/ 윤용일과 박성희의 메이저대회 동반 진출 88년 김봉수 선수가 호주오픈 본선에 출전한 이후 약 7년동안은 한국선수들의 메이저 무대 진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다가 박성...
    tenniseye | 2007-08-09 09:34 | 조회 수 7034 | 추천 수 7
  • 신선한 충격 - 비욘 보그 [3]
    비욘 보그 동계 스포츠의 강국 스웨덴이 오늘날 테니스의 강국으로 우뚝 선 것은 불과 20여년 전이었다. 스웨덴은 현재 노만, 요한슨, 엔크비스트, 그리고 복식의 강자인 비요르크만과 신세대 기수인 빈시게라 등 호...
    全 炫 仲 | 2002-02-15 20:29 | 조회 수 13389 | 추천 수 16
  • 테니스의 신 - 지미 코너스 [2]
    지미 코너스 로드 레이버와 로이 에머슨이라는 두명의 걸출한 스타를 앞세워 60년대 남자 테니스를 좌지우지했던 호주의 테니스는 70년대에 이르러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다. 물론 그들의 후배인 존 뉴컴(John Newcom...
    全 炫 仲 | 2002-02-15 20:26 | 조회 수 9395 | 추천 수 11
  • 기록의 황태자 - 로이 에머슨
    로이 에머슨 사진=위키 백과 2000년 윔블던 대회. 샘프라스와 래프터의 결승전이 열린 날이었다. 4세트만에 래프터를 제압한 샘프라스는 끝내 울음을 터트렸고 샘프라스의 경기를 직접 관전하지 않기로 유명했던 그의...
    全 炫 仲 | 2002-02-15 11:37 | 조회 수 4665 | 추천 수 12
  • 그랜드슬래머 - 돈 벗지 [2]
    돈 벗지역사상 가장 위대한 테니스 선수를 꼽으라면 누구를 들 수 있을까. 70년대에 테니스를 관심있게 보았던 사람이라면 지미 코너스나 비욘 보그, 존 메켄로를 말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고 80년대에 테니스를 즐겼...
    全 炫 仲 | 2002-02-15 11:32 | 조회 수 5326 | 추천 수 10
  • 원조 테니스 천재 - 르네 라코스테..사업가로 대성공
    르네 라코스테(위키피디 wikipedia) 아직 은퇴를 발표하고 있지는 않지만 90년대를 호령해왔던 샘프라스, 애거시의 시대가 서서히 가고 20세 초반 신세대 선수들로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고 있었던 시절 130년 테니스 ...
    tenniseye | 2002-02-15 11:30 | 조회 수 6832 | 추천 수 19
  • 테니스의 아버지 - 이반 랜들 [2]
    70년대 지미 코너스와 비욘 보그의 라이벌 관계가 무르익고 후반에는 존 매켄로가 뛰어들어 남자 테니스의 3인 경쟁체제가 확고해질 무렵, 당시 공산권 국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겁없이 도전장을 내민 이가 있었으니 ...
    tenniseye | 2002-02-16 07:44 | 조회 수 7861 | 추천 수 20
  • 나브라틸로바 -윔블던에서만 19회 우승한 전설 [2]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1980년대를 대표하는 여자 테니스 선수를 꼽으라면 역시 크리스 에버트와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일 것이다. 80년대 비욘 보그의 은퇴 이후 존 메켄로, 매츠 빌란더와 이반 랜들, 스테판 에드버...
    tenniseye | 2002-02-16 07:43 | 조회 수 7975 | 추천 수 20
  • 셈프라스의 영웅 - 존 매켄로 [5]
    존 매켄로 70년대 중반부터 지미 코너스와 비욘 보그의 경쟁구도가 가속화될 무렵, 남자 테니스계는 또 하나의 신예 선수의 등장으로 3파전 양상을 띠게 되는데 그가 바로 ‘코트의 반항아’ 또는 ‘코트의 악동’으로 불...
    全 炫 仲 | 2002-02-15 20:31 | 조회 수 11207 | 추천 수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