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본문 바로가기


테니스 용어 [타]

타이(Tie) 


- 대진의 뜻. 국가대항전인 데이비스컵 대회에서 자주 쓰이는 말인데 예를 들어 "Korea Japan Tie'라고 하면 '한국 대 일본 경기'를 가리킨다. 다른 운동에서 '동점'의 뜻으로 쓰인다.


타이 브레이크 (Tie Break) 시스템 


- 1970년 US 오픈에서 최초로 채용된 경기 단축 시스템. "상대방도바 2게임 이상의 차로 이겨야(Deuce)" 세트를 따게 된다는 종전의 규정 때문에 경기가 무한정 계속되고 그에 따라 선수들의 체력이 저하되고 관중들이 권태감을 느끼며 TV 중계가 지연되던 폐단을 없애기 위해 도입됐다.
ITF 경기 규칙서 27조의 타이브레이크 스코어 방식 항목을 보면 "타이 브레이크는 각 세트마다 스코어가 6게임 올이 되었을 때 실시한다. 단, 경기전에 다른 결정 및 발표가 없는 한 세트 3세트 또는 5세트 매치의 제5세트만은 연장 세트 방식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연장 세트방식은 상대방보다 2게임 이상의 차로 이겨야 세트를 따는 방식을 의미한다. 단식 경기에 타이브레이크 시스템이 적용되면 (1) 2포인트의 차를 두고 7포인트를 선취한 스코어가 6포인트 올이 된 경우에는 2포인트 차가 생길 때까지 게임은 계속된다. (2) 서브할 순번의 플레이어가 제1포인트째에 서버가 된다. 상대방 플레이어는 제2, 제3포인트째의 서버가 되며 이후 그 게임과 세트의 승자가 결정될 때까지 각 플레이어는 2포인트마다 교대로 서브한다.

(3) 제1포인트째의 서비스는 오른쪽 코트로부터 시작하여 그 이후의 각 서비스는 좌우코트를 번갈아 가면서 한다. (4) 플레이어는 각 6포인트마다, 그리고 타이 브레이크 게임이 끝났을 때 엔드를 바꾼다. 타이 브레이크 시스템을 타이 브레이커(tie-breaker) 또는 asudden death system이라고도 부른다.

탠덤 대형(Tandem Formation)

- 복식에서 같은 편의 두 선수가 세로로 한 줄로 서는 대형. 서비스 팀이 취하는 변형 대형인데 리버스(reserve) 포메이션이라고도 한다.

터틀(Turtle)

- 코트 구석으로 볼이 왔는데도 달려가지 않는 게으른 플레이어.

테니스 엘보(Tennis elbow)

-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팔꿈치에 염증이 생기거나 근육 손상으로 심한 통증이 수반되는 병. 중급 이하의 동호인과 주니어 선수들에게 많이 생기는 이 병에는 라켓을 바꾸거나 스트로크 자세를 교정하는 것도 하나의 치료책이 되겠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쉬는 것이다.

테니스 엘보 이외에 급작스런 피벗(Pivot) 등이 원인이 되어 장딴지가 아픈 병은 테니스 레그(leg), 유사한 발의 움직임 때문에 발가락이 손상되는 경우는 테니스 토우(toe)라고 부른다. 골프에선 테니스 엘보와 유사한 증세의 병을 골프 엘보라고 한다.

텐션(Tension)

- 라켓의 스트링스를 잡아 당기는 힘. 단위는 파운드(lbs). 우드라켓이 유행했을 때는 70파운드 텐션이 보통이었지만 라켓 소재와 사이즈가 획기적으로 개선된 최근에는 텐션을 낮게 유지하는 선수들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의미상으로는 텐션과 구별될 필요가 있는 용어인 면압은, 스트링스가 라켓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스트링스면 전체의 반발력을 측정한 수치이다. 단위는 kg/cm. 스트링스면을 1cm 들어가게 하려면 몇 kg의 힘이 필요한가를 표시한다.

톱스핀(Top spin)

- 회전을 하면서 날아가는 스핀 구질의 한자기. 볼을 시계 숫자판에 연상하면 6시 방향에서 0시 방향으로 라켓을 위로 문질러 올려치면 볼은 전징 중인 자동차 바퀴의 굴림 방향처럼 돌면서 날아간다. 구질의 특성은 투수의 싱커볼처럼 일정거리를 비행하다가 급격히 떨어진다.

그 같은 볼의 특성은 네트라는 장벽을 사이에 둔 테니스 게임에 필연적으로 도입되기에 알맞았다. 1970년대부터 프로 선수들 사이에 본격적으로 선을 보이기 시작. 비욘 보그에 와서 꽃을 피웠고 80년대 들어서는 세계 테니스 기법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톱스핀의 효용을 풀이하면 이렇다 :

남보다 뛰어나려면 타구가 강해야 한다. 타구가 강할 수록 볼의 궤도는 직선에 가깝다. 그런데 이론상 직선 궤도의 볼은 타점이 어지간히 높지 않으면 네트에 걸리거나 아웃된다. 따라서 네트를 넘자마자 급히 떨어지는 톱스핀 구질은 그라운드 스트로크나 패싱샷에서 안정성과 각도를 확보해 주는 엄청난 이점이 있다.

또한 바운드 후 볼은 높이 멀리 나아가기 때문에 상대방은 라이징볼로 처리하지 않는 이상 네트로 멀리 쫓겨나거나 꽤 높은 타점을 강요받아 강타에 곤란함을 겪게 된다. 그러나 라켓을 급격한 상향 스윙으로 휘두르는 도중 임팩트를 해야 하기 때문에 볼 컨트롤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서비스에서 일컫는 톱스핀의 스핀 각도는 그라운드 스트로크와는 다르다는 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서비스의 스윙으로는 액면 그대로 6시┓0시 방향이 거의 불가능하여 7-8시┓1-2시 방향의 톱스핀을 서브라고 말한다.

토너먼트(Tournament)

- 경기 진행 방식의 하나. 일정한 대진에 의해 승리한 사람(팀)만이 다음 회전에 진출하고 마지막에는 두 사람(팀)이 대전하여 우승자를 가리는 방식이다. tournament는 원래 중세의 기사가말을 타고 창과 칼을 들고 싸우는 야외 경기였다.

시간과 장소를 정해서 싸운다는 점 때문에 근세에 스포츠 용어로 바뀌었는데 유럽에선 이를 녹다운(Knock down) 방식 또는 KO 방식이라고 부른다. 토너먼트 대진을 편성하는 방법은 (1) 참가자(팀)가 2, 4, 8, 16, 32 등 그의 거듭제곱수인 경우는 참가자 전원을 1회전부터 짝을 지어서 싸우게 하면 되고 (2) 참가자 수가 2의 거듭제곱수가 아닌 경우는 1회전에서 부전승을 내야 한다.

부전승의 수는 참가자 수보다 많으면서 참가자수에 가장 가까운 완전 거듭제곱수에서 참가자수를 뺀 것이다. 예를 들면 참가자 수가 21일 경우의 부전승의 수는 21에 가장 가까운 거듭제곱수(32)에서 참가자 수(21)를 뺀 11이다. 보통 부전승자는 시드 배정이나 추첨에 의해 결정된다.

트랩 샷(Trap shot)

- 상대방의 실수를 유도하는 작전성 타구.

테이크 백(Take back)

- 볼을 치기 위해 라켓을 뒤로 빼는 것. backswing의 동의어이다.

토스(Toss)

- 테니스 용어로는 (1) 서비스 토스와 (2) 경기전에 서브인가 코트인가를 결정하는 토스의 두 가지 의미가 있다. 서비스 토스는 손바닥으로 볼을 쥐고 머리 위로 가볍게 올리는 것과 컵을 쥐듯이 볼을 쥐고 던져 올리는 것이 있다.

전자는 손목 중심이지만 후자는 손목을 사용하지 않고 어깨가 중심이된다. ITF 경기 규칙서 6조를 보면 "제1게임의 엔드 (사이드)의 선택 및 서버가 될 것인가 또는 리시버가 될 것인가의 권리는 토스로 결정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때 토스에 이긴 사람이 서버가 리시버가 될 권리를 선택하면 상대방 플레이어는 엔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어느 한쪽이 엔드를 선택하면 상대방 플레이어는 서버나 리시버가 될 권리를 선택할 수 있다. 토스 방법으로 (1) 가위바위보 (2) 라켓을 땅위에 세우고 돌리기 (3) 동전 던지기 등이 있다.

톱헤비(Top heavy)

- 테니스 라켓은 밸런스에 따라 라켓 헤드부가 무거운 톱헤비(Top heavy), 중심부에 무게 중심이 있는 이븐(Even), 그리고 그립부가 무겁고 헤드부가 가벼운 톱라이트(Top light)의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베이스 라이너는 스트로크에 위력을 보태기 위해 톱 헤비를 좋아하며 서브 앤드 발리어는 라켓 조작성을 높일 목적으로 톱라이트 라켓을 사용한다. 그러나 시속 200km 이상의 총알서브와 시속 120-150km의 강스트로크가 난무하는 프로 테니스 경기에선 대체로 톱라이트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테니스 용어]


TAG •